본문 바로가기

01. 인증/아시아

(8)
인도네시아 SNI 인증: 제품 품질 보증과 국제 경쟁력 강화 인도네시아 SNI 인증 · 인도네시아 SNI 인증이란 SNI (Standar Nasional Indonesia) 인증은 국제품질보증 ISO 9000을 근간으로 설계된 인증으로 제품의 생산 과정과 규격에 관한 인도네시아 국가 표준규격 인증의 줄임말입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여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면서 제품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하는 필수 인증은 자국 내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의 안전과 품질을 위해 도입되는 제도라고 보면 된다) SNI 인증은 인도네시아 국가규격으로 기술위원회인 BSN (Badan Standardisasi Nacional)에 의해서 발행되었습니다. SNI 인증은 전기안전과 EMC를 포함하여 화학, 의료기기, 완구, 기타 ..
한국 효율관리제도: 고효율인증제도 한국 효율관리제도: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 · 한국 효율관리제도란 (고효율 인증 제도)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한국 효율관리제도 3대 프로그램 중 마지막인 고효율 인증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는 에너지사용기자재 중 에너지효율 및 품질시험 검사 결과가 정부가 고시한 일정기준 이상 만족하는 제품을 고효율에너지기자재로 인증하는 자발적 제도이다. 이전에 소개했던 에너지소비효율과 대기전력저감은 강제 인증이지만 고효율 인증의 경우 선택 인증이다. 이 인증제도는 고효율 제품의 보급 활성화와 초기시장 형성을 위해서 도입한 인증으로 고효율 마크 부착을 통해서 제품 홍보 목적으로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 하기 내용은 이전에 소개한 효율관리제도의 목적으로 이전글과 동일한 내용이니 참고 바란다. ..
한국 효율관리제도: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한국 효율관리제도: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 · 한국 효율관리제도란 저번에는 한국 효율관리제도 3대 프로그램 중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아래 내용은 한국 효율관리제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 내용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3가지 한국 효율관리제도는 소비자에게 에너지 효율성능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고효율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업체의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개발을 촉진하여 고효율기기로의 시장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상당한 에너지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가져다준다. 특히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50년 기준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수단에서 기기·설비부문 에너지 절약은 36%로 가장 중요한..
한국 효율관리제도: 에너지소비효율 인증 한국 효율관리제도: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 · 한국 효율관리제도란 한국에 효율관리제도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기의 효율 향상과 고효율제품의 보급확대를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추진 하고 있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와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의 3대 프로그램이다. 이 3가지 효율관리제도는 소비자에게 에너지 효율성능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고효율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업체의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개발을 촉진하여 고효율기기로의 시장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상당한 에너지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가져다 준다. 특히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50년 기준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수단에서 기기·설비부문 에너지 절약은 36%로 가장 중..
중국 CCC, CQC 인증: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사항 중국 CCC, CQC 인증 · CCC/CQC 인증이란 중국 인증에는 강제 인증인 CCC 인증과 자율 인증인 CQC 인증이 있다. 1. CCC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CCC 인증은 중국에서 시행되는 의무적 제품 인증 체계로 중국 정부는 일부 제품에 대해 CCC 인증을 받지 않으면 중국 내에서의 판매가 불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CCC 인증은 안전성, 환경 보호, 소비자 보호를 위해 시행되고 있다. CCC 인증은 중국에서 생산되거나 중국으로 수입되는 다양한 제품들에게 요구되는데,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은 중국 통관 절차에서 보류되거나 압수될 수 있으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CCC 인증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CCC 인증은 다..
일본 PSE 인증: 전기용품 안전을 위한 필수 인증 일본 PSE 인증 · PSE 인증이란 PSE 인증은 일본의 전기용품 안전법에 따라 시행되는 강제 인증 제도이다. PSE는 "Product Safety Electrical Appliance and Materials"의 약어로, 전기용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규제를 시행하고 전기용품에 의한 화재, 감전, 부상 등의 사고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SE 인증은 일본 경제산업성(METI)이 주무부처로서 관리하고 있으며, 제품의 안전성과 기술 기준을 충족해야만 해당 제품에 대해 인증을 받을 수 있다. PSE 인증 대상은 특정 전기용품과 특정 전기용품 이외의 전기용품으로 구분된다. 특정 전기용품은 116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품목의 전기용품은 특정한 인증 절차와 요구사항을 따라야 한다. 특..
대만 BSMI 인증: 대만 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인증 요건 대만 BSMI 인증 · BSMI (Bureau of Standards, Mettology and Inspection) 인증이란 대만 상품 검사제도 (TCI Schemes)는 대만의 표준화, 계측, 제품 검사를 담당하는 기관인 BSMI (Bureau of Standards, Mettology and Inspection; 대만 경제부 표준 검험국)에서 관리한다. 대만 국내외 농업류, 공업류, 광업류 제품등 총 1200여 개 제품군은 반드시 해당 검사를 받아야 한다. BSMI 안전마크는 상품 검사법에 따라 전기 및 전자 제품에 대해 의무적으로 사용된다. 의무적인 인증이기 때문에 대만에 합법적으로 수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인증이다. BSMI 인증에 해당하는 제품군 중에 전기 및 전자 제품군을 살펴보고자 한..
대한민국 KC 인증: 제품 안전성과 품질 보장을 위한 필수 절차 대한민국 KC 인증 · KC (Korea Certification) 인증이란? KC 인증은 국가통합인증마크로 안전, 보건, 환경, 품질 등 분야별 인증마크를 국가적으로 단일화한 인증마크 2009년 7월 1일 지식경제부에서 우선 도입하고, 2011년 1월 1일부터는 환경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8개 전 부처로 확대 실시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육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국방부, 고용노동부). 전기용품안전인증은 해외 수입 또는 국내 제조한 전기 제품들이 국내 유통, 판매되어 소비자가 사용함에 있어 화재, 감전 등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받은 제품만 유통, 판매할 수 있도록 한 강제 인증제도이다. (강제 인증제도이기 때문에 한국에 정식 출시하는 제품..